현관 도어락, 공동 현관 카드키를 NFC 스티커에 복사하는 방법

편리한 NFC 스티커

평소에는 카드로 편리하게 쓰는 NFC 가능은 간단하게 대중교통을 카드로 태그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인데 좀더 작고 편리하게 스티커에 코일이 부착되어 있고 스마트폰 케이스에 붙이거나 악세사리에 부착해 사용하면 좋아요.

NFC 스티커 앞면과 뒷면



목차

  • NFC 스티커 종류
  • 스팩
  • 설정하는 방법
  • TIP



NFC 스티커의 종류

NFC 스티커는 모양, 크기,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현관 도어락과 공동 현관키로 사용하려면 CUID가 표기된 제품을 구매해야돼요.
NFC CUID는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제품으로 별도의 리더기 없이 스마트폰 앱으로 데이터를 복사해 NFC 스티커에 저장 할수있고 몇번이고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해요.



스팩

주파수: 13.56MHz
프로토콜: ISO14443A
용량: 1k 바이트 EEPROM 메모리
재작성 횟수: 100,000회
변조 방법: ASK Manchester 인코딩
크기: 25MM 라운드
가격: 50장 7,870원
평점: ★★★★★



설정하는 방법

01. 스마트폰 설정 > 연결 > NFC 및 비접촉 결제 > 사용 중 / NFC 태그 읽기쓰기 체크 
02. 구글 스토어에 Mifare Classic Tools 앱 설치


Mifare Classic Tools 앱의 읽기 설정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줍니다.

03. 앱 READ TAG > 2번 두개 체크 > 도어락 키를 스마트폰 NFC에 대고 있는 상태로 START MAPPING AND READ TAG 클릭 (알파벳과 숫자 0이 가득한 화면이 나왔다면 상단 디스켓 아이콘 클릭 > 원하는 이름 바꾸고 SAVE)


Mifare Classic Tools 앱 쓰기 설정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줍니다.

04. ERITE TAG > 5, 6번 체크 > SELECT DUMP > 이름 바꿔 저장한 파일 선택 > NFC 스티커를 스마트폰 NFC에 대고 있는 상태로 SELECT AII > OK


Mifare Classic Tools 앱의 쓰기 성공 모습입니다.

05. NFC 스티커에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들어가면 10번 처럼 Data successfully written 메세지가 출력되고 실패하면 Error: Some error occurred while writing (This might be bad) 메세지가 뜨 04번부터 쓰기를 다시 해야합니다.



TIP.

기존 카드키 읽기는 한번에 인식이 잘 되지만 쓰기는 한번에 성공이 안됩니다. 다른 분들도 보통 3번까지는 실패하니 신경쓰지 말고 Data successfully written 메세지가 뜰때까지 반복하세요.

그외 카드키나 NFC 스티커를 스마트폰 인식 범위에 되면 앱 하단에 알람 메세지가 뜨니 인식이 잘 안되면 조금씩 위치를 이동하면서 정확한 위치를 찾으면 됩니다.

쓰기에 성공해도 Error: Some error occurred while writing (This might be bad)가 뜨는 경우가 있으니 도어락에 확인해보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